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1
728x90
반응형

기간제교사 후기 6 https://www.youtube.com/watch?v=VkxEG4ow_I8 유튜브 알고리즘에 의해서 특성화고에 관한 영상을 봤다. 내가 근무 했던곳도 특성화고이기도 하고 나는교사의 눈으로서 바라볼때 공감이 많이 가는 내용들이었다. 최근 인구절벽이다 뭐다 지방 대학들이 미달 사태에 직면하고 있고 어떻게든 학생들을 끌어 모으려는 노력을 하지만 그게 쉽지는 않다. 고등학교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교무실 문을 두드리는 전문대학과 사립대학 교수들이 얼마나 비참한지 옆에 있어보니 느낄수 있었다. 특성화고 무엇이 문제일까? 특성화고등학교는 교사가 학생들을 상대로 사기치는 경우가 많다는거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모집글을 보면 혹하게 만든다. 불경기에 취업을, 일학습 병행제, 선취업 후진학, 공기업 취.. 2021. 10. 17.
squid game. Frontman explains the last game, the squid game, to VIPs like this. The reason why this squid game was decided as the last event of the competition can be thought of as the organizer of this game having a considerable affection for the game. In the last story, the subject of this game was the first contestant, Oh Il Nam. It doesn't come out exactly what he did to become rich, but he introduces h.. 2021. 10. 11.
기간제교사 후기 5 (에너지가 없는 사람들) 교사의 유튜브 활동을 보다가 오래전에 올라온 EBS 강사의 교사 유튜브에 관한 개인적인 생각을 읽었다. 이 영상 중에서 나는 어느 한 문구를 보며 경험을 쓴다. 유튜브를 하는 교사보다 더 큰 문제는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교사들이다. 동영상 주소는 https://youtu.be/qVnpxZACuxo 있으니 한번씩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같은 교사였던 나도 꼰대라고 스스로 느, 껴질 정도인데, 학생들은 얼마나 꼰대 같을까?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서 한번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유독 학교에서 꼰대라는 말이 많이 들리는 이유가 뭘까? 그것은 학교만의 특이한 조직 문화 때문이다. 학교는 수평적 조직문화다. 즉, 모두가 직급이 같다. 그러니 서로 함부로 얘기하기가 힘들고 둘러서 표현을 한다던지.. 2021. 5. 31.
서울 자사고 '모두 승소' 서울 자사고 '모두 승소' (msn.com) 서울 자사고 '모두 승소' 서울 자사고 '모두 승소' www.msn.com 자율형 사립고등학교 지정 취소처분에 대한 취소 소송에서 학교 측이 모두 승소했다. 자사고? 자사고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서 일반 서민과는 거리가 멀게끔 느껴진다. 이유는 바로 어마어마한 교육비 때문이다. 자사고는 교육과정을 비롯한 모든 커리큘럼, 교직원 급여까지 모두 학교의 교육비로 충당하기때문에 당연히 교육비가 비싸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사고에 진학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교육의 질에 있다. 사립학교는 공립학교와는 다르게 중학교 교사들이 학생 추천을 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학생들을 모셔온다는 표현을 쓴다. 교사들은 암암리에 홍보를 빙자한 많은 방법을 시도하지만, 학생들을 데려.. 2021.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