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간제교사 체험기8
728x90
반응형

기간제교사 후기 6 https://www.youtube.com/watch?v=VkxEG4ow_I8 유튜브 알고리즘에 의해서 특성화고에 관한 영상을 봤다. 내가 근무 했던곳도 특성화고이기도 하고 나는교사의 눈으로서 바라볼때 공감이 많이 가는 내용들이었다. 최근 인구절벽이다 뭐다 지방 대학들이 미달 사태에 직면하고 있고 어떻게든 학생들을 끌어 모으려는 노력을 하지만 그게 쉽지는 않다. 고등학교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교무실 문을 두드리는 전문대학과 사립대학 교수들이 얼마나 비참한지 옆에 있어보니 느낄수 있었다. 특성화고 무엇이 문제일까? 특성화고등학교는 교사가 학생들을 상대로 사기치는 경우가 많다는거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모집글을 보면 혹하게 만든다. 불경기에 취업을, 일학습 병행제, 선취업 후진학, 공기업 취.. 2021. 10. 17.
기간제교사 후기 5 (에너지가 없는 사람들) 교사의 유튜브 활동을 보다가 오래전에 올라온 EBS 강사의 교사 유튜브에 관한 개인적인 생각을 읽었다. 이 영상 중에서 나는 어느 한 문구를 보며 경험을 쓴다. 유튜브를 하는 교사보다 더 큰 문제는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 교사들이다. 동영상 주소는 https://youtu.be/qVnpxZACuxo 있으니 한번씩 봐주셨으면 좋겠어요. 같은 교사였던 나도 꼰대라고 스스로 느, 껴질 정도인데, 학생들은 얼마나 꼰대 같을까?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서 한번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유독 학교에서 꼰대라는 말이 많이 들리는 이유가 뭘까? 그것은 학교만의 특이한 조직 문화 때문이다. 학교는 수평적 조직문화다. 즉, 모두가 직급이 같다. 그러니 서로 함부로 얘기하기가 힘들고 둘러서 표현을 한다던지.. 2021. 5. 31.
기간제교사 후기 4 (내가 열심히 하지 않은 이유) 기간제교사 열심히 하면 정교사 정말 시켜줄까? https://youtu.be/BoKZoBAmRpQ 드라마 블랙독의 한 장면이다. 사립학교에서 기간제를 오래하신 선생님이 임용고시 낙방을 했다. 그래서 분노에차서 혼자얘기하는 장면이다. 사립학교에서 기간제 교사를 열심히 하면 정교사 시켜준다는 말. 사실일까? 나는 교사생활 솔직히 열심히라고 하면 열심히고 아니라고 하면 아니었다. 나는 왜 그렇게 열심히 안했을까? 해당장면을 보면 답이 나온다. 학교에서 열심히하고 생활을 잘하던 송선생은 이사장이 열심히하면 정교사 시켜준다는 약속을 했고 열심히 했다. 하지만 다른 기간제 교사중 한명이 합격을 했고 그녀는 실망감에 학교를 떠났다. 내가 열심히 하지 않은 이유기간제교사라고 학교생활 열심히 하지말라는 말을 전하고 싶다.. 2021. 1. 10.
기간제 교사 후기 3 (ft.학교 고르는 꿀팁) 임용고시 결과가 나오고 많은 임고생들은 합격과 불합격으로 갈리는 상황에서 불합격 생들은 한번더 갈린다. 공부를 더 해볼것인가? 아니면 기간제라도 해볼까? 하는 딜레마에 빠진다. 상황에 따라 선택은 자유지만, 나는 기간제를 하는 사람의 이유는 명확하니까. 좋은 학교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서 말해보겠다. 좋은 학교찾기 과연 좋은 학교란 무엇을 말하는가? 이다. 기간제교사를 하는 이유는 경제적이유가 크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기간제 교사 입장에서 좋은 학교는 고용의 안정성이 보장된 학교를 말한다. 기간제가 고용안정성이 있다고?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들릴수 있겠지만 실제로 이런 학교들은 존재 한다. 그걸 내가 어떻게 아냐? 나도 그런 학교에 있었고 주위에 그런학교에 대한 소문은 많았다. 고용안정성은 사립학교가 높.. 2021.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