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돌봄전담사4
728x90
반응형

'돌봄파업' 후 개선협의회 첫 회의…교사·전담사 입장만 확인 '돌봄파업' 후 개선협의회 첫 회의…교사·전담사 입장만 확인 돌봄교사들과의 협의회를 가졌다.돌봄교사들은 근무시간과 퇴직금을 빌미로 협상을 요구하지만 ㅇ교육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한다. 대한 민국에서 가장 말안듣는 두집단이 있다. 교육부와 검찰. 이사람들은 자신들이 엄청난 고시를 뚫고 왔기 때문에 일반적인 감성으로 요구는 들어주지 않는다. 주장에 관한 근거가 있으면 수용을 해주지만 이런 근거가 전혀 부족하다는 뜻이다. 먼저 8시간 근무, 말도 안되는 소리다. 8시간이나 돌봄을 하는것도 아니면서 차마시고 교무실에 노가리 까다가 돌봄 시간되면 업무보러 가겠다는 말밖에 안된다. 게다가 교원은 돌봄업무 경감이라고 하는데 근거는 1도 없다. 어차피 돌봄교사에 대한 업무관리는 교사가 하고 있으며, 돌봄교사는 연가나 병.. 2020. 11. 25.
서울 학교비정규직 19~20일 파업확정 서울 학교비정규직 19~20일 파업확정 서울에서 학교비정규직들이 파업을 확정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이유는 어이없게도 퇴직금 산정 방식을 변경해달라는거다. 현재는 확정기여금(DC) 형태의 퇴직금을 받고 있다. DC형은 고용주가 매년 연간임금총액의 12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을 금융기관에 적립하면 노동자가 이를 금융상품에 투자해 추가 수익을 내는 방식이다. DB형은 퇴직 전 3개월 평균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해 퇴직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노동자 입장에서는 가장 높은 임금을 기준으로 안정적인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DB형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DB가 유리하다고 볼수 있다. 이건 어디까지나 회사를 다닐때 얘기다. 학교 비정규직과 돌봄은 얘기가 틀려진다. 이유는 방학때 근무를 안하기 때문이다. DB.. 2020. 11. 17.
돌봄전담사들"8시간 전일제 전환, 예산 수립해야" 돌봄전담사들"8시간 전일제 전환, 예산 수립해야" 돌봄전담사들이 파업을 했다. 이유는 시간을 늘려달라고. 나는 예전에 돌봄 전담사에 관해서 글을 쓴적있다. 지금 그 사람들이 뻔뻔하게 거리로 나오고 있다. 이유는 근무 시간때문이다. 근무시간을 늘려달라는 이유가 뭘까?전일제로서 공무직 처럼 일하고 싶다는거다. 학교에 일이 있든 없든, 8시간 나와서 근무를 하겠다는거다. 많은 사람들이 여기에 의문을 품는다. 돌봄에 왜 8시간이 필요하지? 돌봄은 일과후에 실시하는 방과후 학교같은 개념이다. 그런데 왜 8시간이 필요하냐는거냐? 돌봄전담사들은 이렇게 얘기한다. 학교에서 공문 처리해야할 시간도 없고 프로그램 운영하기도 빠듯하다고. 기가찬다. 프로그램이 애초에 있기는 한건가? 다 다른 학년들끼리 섞여 있는데 섬마을 초.. 2020. 11. 12.
돌봄교실 지자체 이관, 민영화 신호탄"…돌봄전담사 반발, 교육부 침묵 돌봄교실 지자체 이관, 민영화 신호탄"…돌봄전담사 반발, 교육부 침묵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2&sid2=250&oid=003&aid=0010067275 오늘은 돌봄 교실 이슈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돌봄교실이 생겨난 이유는 맞벌이 부모들이 학생을 신솔하고 맡길데가 없어서 생겨났다. 생긴지 얼마 안된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에서 비슷한 프로그램을 운영중이었다. 여기는 어떻게 운영되냐면 주무관들이 따로 있고 자원 봉사자들이 주로 학생들 수업을 하고 프로그램을 운영을 도와준다. . 이용자는 해마다 점점 늘어나니 돌봄교실을 늘리는게 맞는데 사실상 늘리기도 애매하다. 오늘은 왜 저 사람들이 데모.. 2020.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