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건교사2
728x90
반응형

교원단체 "코로나 속 차등 성과급제 유지…헌신에 찬물, 폐기해야" 교원 차등성과급 과연 폐지돼야 할까? 차등 성과급에 따른 교원단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이렇게 논란이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차등성과급은 성과에 따라 나누어 지는 제도를 말한다. 평가는 점수에 따라 객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누군가가 임의로 성과급을 많이 주고 적게 주고 하는 게 아니라. 담임하면 몇 점 , 부장 업무 몇 점 이런 식으로 점수가 다 있다. 여기에 따라서 업무를 많이 하는 교사에겐 성과등급이 높고 낮은 교사에겐 성과급이 적게 지급한다. 여기에 문제란? 있을수 없다. 그럼 뭐가 문제일까? 놀고 먹는 교사들 때문이다. 보건교사가 코로나에 아무리 발광했다 쳐도, 다른 교사들 마스크 하며 수업하는 고생에 반도 안된다고 본다. 마스크 쓰고 대면 강의해보긴 했나? 이걸 엔분의 1로 하는 교사들은 딱 .. 2021. 3. 10.
‘학교방역 최일선’ 보건교사, 올해도 성과급은 최하위 ‘학교방역 최일선’ 보건교사, 올해도 성과급은 최하위 비교과 교사는 교사일까?오늘은 무거운 주제를 가지고 왔다. 거의 모든 학교에 일어나고 있는 사안이며 이슈또한 만만치 않다. 비교과 교사는 교사로 볼수 있을까? 왜 불이익을 받을까?이다. 학교에는 교과목이 없는 교사들이 있다. 영양, 사서, 보건, 상담. 4천왕이다. 이 사람들은 학교에서 소외 된다며 아우성이다. 자신을 알아봐달라고 자신들도 고생한다고 얘기한다. 그런데 많은 교사들이 공감하지 못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힘들어 봤자 얼마나 힘들다고? 수업을 하냐? 아니면 학생지도를 하냐? 아무것도 안하면서 자기 실에서 일과를 보내기 때문에 교직원들하고도 서먹서먹하다. 물론 성격차이에 따라 케바케지만. 대부분 그렇다. 미움받는 이유는 간단하다. 번데기 앞에.. 2020.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