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부3
728x90
반응형

중등임용고시 재시험 불가 중등임용고시 재시험 불가중등임용시험에서 코로나 확진자들은 임용시험응시를 막았다. 난 이게 어처구니가 없는게, 왜 이유없이 막았냐는거다. 노량진에서 공부할정도만 이만저만 노력이 아니다. 마땅한 직업도 없이 응시자들은 시험 하나보고 1년이상을 버텨 왔을것인데 이걸 코로나하나대문에 막는다는게 말이 안된다. 물론 응시장도 가관이었다. 아무것도 못먹게 하는 응시장도 있었고, 화장실에서 우루루 몰려가서 볼일을 보는 응시자들한테 거리두기는 무슨 아무런 지시사항도 없었다. 어쨋든 교육부에서 아무런 대책없이 임용시험은 단 한번의 연기도 없이 치뤄졌다. 기타 공무원시험, 채용시험, 수능도 연기가 됐는데 이런것조차 역차별이라고 생각이 든다. 미리 준비하지 못했다?나는 이 장관에게 한마디 묻고 싶다. 당신은 미리 준비해서 장.. 2020. 11. 27.
교육부, 서울교육청에 초등 558명·중등 570명 등 감축 통보 교육부, 서울교육청에 초등 558명·중등 570명 등 감축 통보교육부에서 교사들 감축하겠다는 통보를 서울시 교육청에 했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만큼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겠으나, 지금 상황과는 맞지 않다고 본다.현재 고3 학생수 및 수능 응시자 수다. 43만명이다. 나때는 63만이었는데 10년만에 20만명이 없어졌다. 학령인구가 없어짐으로 인해서 교사수를 줄이는것은 맞으나. 이게 앞으로 나올 정책과는 상반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2022년부토 고교 학점제가 전면 시행된다. 고교학점제는 대학처럼 수강신청을 해서 수업을 듣는다. 학점이수만 하면 졸업도 가능하다.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에대한 결정권과 선택권을 주기위해서 실시한다고 한다.그런데 이렇게 되면 교사들이 부족해진다. 어떤학생은 음악수업을 .. 2020. 11. 25.
수능 난이도 수능 난이도 조절 건의 대한민국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인 수능 난이도를 조절하라는 압박을 가했다. 교사 채용과 같이 진보교육감들의 행보가 너무 선을 넘고 있다. 뭉치면 뭔들 못하리. 나는 이번 일이 너무 어이가 없다. 코로나때문에 수업에 차질을 빚었다고? 말도 안되는 소리다. 고3을 학교 수업만 가지고 수능을 치루는 학생들이 몇명이나 될까? 1도 없다.사교육 시장이 왜 점점 커져만 갈까? 학교 수업으로는 수능에 대비할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조급해지고 뭐라도 해서 경쟁에서 지지않으려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에 사교육이라도 찾는다. 요즘은 공무원, 전문시험 등 범위까지 커져서 사교육의 파이는 점점 커져만간다. 교육감의 요청이 왜 잘못됐냐고 하면. 지금 고 3들만 코로나를 겪고 있는게 아니다. 재수생도, 수험생.. 2020. 9. 21.